엑셀SUMIF함수는 함수 이름처럼 SUMIF 뜻 그대로 "만약", "더하다"입니다. 엑셀 시트 표나 범위 중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조건이 맞다면, 그 조건에 맞는 값만 합계를 내는 함수입니다. 여러 데이터중 원하는 조건의 숫자 합계를 구해야 할 때 많이 사용되므로 잘 익혀두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.
- SUMIF함수의 구조: =SUMIF(A,B,C)
A = 조건이 적용될 셀의 범위
B = 데이터중 합계를 구할 조건
C = 데이터중 합계를 구할 범위
▶엑셀 SUMIF함수 적용
1) 왼쪽의 데이터 시트에서 오른쪽의 거주지에 따른 금액 합계를 구하도록 적용해보겠습니다.
엑셀SUMIF함수
2) 수식→함수삽입→SUMIF함수검색→확인
엑셀SUMIF함수
3) Range 조건이 적용될 셀의 범위
보충설명:저는 주거지를 조건으로 지정하여 주거지별에 따른 보증금 합계를 구하기 위해 주거지 데이터 열을 드래그하여 지정하였습니다.
엑셀SUMIF함수
4) Criteria 데이터 중 합계를 구 할 조건 지정
보충설명: 저는 "사천시"에 거주하는 사람의 보증금의 합을 구하기 위해 Criteria에 사천시가 입력돼있는 "D3"셀을 지정하였습니다.
엑셀SUMIF함수
5) Sum_range 데이터중 합계를 구할 범위를 지정합니다.
보충설명: 저는 보증금의 합계를 구하려고 보증금 항목을 드래그하여 지정합니다.
엑셀SUMIF함수
6) 1) ~ 5)의 방법으로 서울시, 부산시, 울산시도 SUMIF함수를 적용하여 합계를 구합니다.
오늘은 엑셀SUMIF함수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 업무에 정말 많이 쓰이는 함수로 잘 숙지하여 활용하시길 바랍니다. 다음 시간에는 SUMIF함수 (다중 조건의 합)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